이렇게 생긴 앨범 쟈켓 한번쯤은 봤을수도, 처음 접했을 수도 있다. 1969년에 발표된 King Crimson(킹크림슨)의 In The Court Of The Crimson King이다.
이 앨범에는 Epitaph(묘비명)이란 곡이 제일 유명하다. 예전 음악다방에 실제로 있었던 얘기로 손님들이 킹크림슨의 에펠탑을 틀어달라고 했었다는 일화는 잘 알려져있다.
사실 이 앨범에선 어느 한 곡 버릴 곡이 없다. 69년에 시대를 앞선것 같은 곡구성이나 쟈켓디자인과 내용물은 프로그레시브락 또는 아트락으로까지 분류되면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이 앨범 커버는 공포에 질린 듯 한 얼굴을 표현한 것 같지만 공포가 아닌 편집증적 피해망상과 정신 분열을 포착한 것이다. 이 앨범 저변에 깔린 주제 의식과 음악들이 망상과 정신 분열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가지고 있다.
King Crimson 앨범 커버
배리 고드버라는 아티스트가 앨범커버를 맡아 작업했는데, 거울로 자신의 얼굴을 보고 이 그림을 그렸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배리 고드버는 다음해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고, 이 그림은 그가 남긴 유일한 회화 작품이 됐다.
아무튼 이 앨범을, 드디어 69년 미국 초반을 영접했다. 위에 두 장의 앨범이 있는데, 하나는 미국초반 하나는 국내 예음에서 제작한 라이센스반이다. 때깔로 봤을때 어느 쪽이 초반일까?
좌측이 미국초반인데 사진상으로는 우측 라이센스가 더 깔끔한 인쇄 상태를 자랑한다.
하지만 실물로 보면 미국초반은 캠버스에 물감으로 그린것처럼 물감이 묻어나는 느낌이고 라이센스반은 코팅된 쟈켓이다. 쟈켓을 만졌을때 촉감은 실제로 물감재질로 되어 있어 굉장히 조심스럽다. 이 앨범이 발매되고 52년이 지났는데 상태가 이리 좋을수 있을까 새삼 감탄스럽다. 판상태는 어떨까?
초반 NM, 라이센스 NM 다. 정말 깔끔하다. 관리 도대체 어떻게 했을까 싶을 정도다. 사놓고 한번도 안 들었거나, 딱 한번 듣고 애지중지 모셔 놨을거나 둘 중 하나다.
음질은 라이센스와 초반 비교불가다. 깊이와 다이나믹, 모든 면에서 장막이 몇 개 벗겨지는것 같다. 같은 노래는 맞지만, 아예 다른 곡인것 같은 느낌. 사람의 귀는 간사하다. 왜 초반을 귀신같이 찾아다니고 비싼 몸값을 자랑하는지 명확하다. 오리지널 초반과 재반, 리이슈, 라이센스와 빽판까지 무수히 많은 프레스가 존재하지만 어느 하나 같은 소리는 없다.
미세한 차이가 존재하고 알지못하는 매카니즘이 존재하리라. 미국 초반 애타게 찾던 앨범을 드디어 찾았으니 열심히 사랑해줘야겠다. 개인적으로 21st Century Schizoid Man 강력 추천이다. 중독적이고 강력한 기타리프와 색소폰, 마구 두드려대는 드럼까지 정신을 쏙 빼놓는다.
심난할때 들으면 실타래처럼 얽힌 머릿속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곡으로 음악 듣다 짜증이 배가 되거나 미쳐 버릴수도 있다. 힙합가수 Kanye West가 Power 라는 곡에서 이 이 곡을 샘플링할 정도다.